[MBN스타 김진선 기자] 뮤지컬 배우 박영수는 뮤지컬 ‘마마 돈 크라이’에서 백작 역을 맡아 알 수 없는 묘한 분위기와 강렬한 느낌을 자아내고 있다. 박영수는 “극 중 이미지와 너무 다르다”는 물음에 “난 쌍꺼풀이 없을 뿐 아니라 이마를 드러낸 것과 그렇지 않은 모습이 다르다. 머리를 넘기면 좀 더 차가운 부분이 도드라지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박영수는 “‘마마 돈 크라이’(이하 ‘마돈크’) 백작 캐릭터는 전작들과도 다르고, 이번에 준비하고 있는 ‘신과 함께’에서도 완전히 다르다. 백작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그는 “‘마돈크’를 준비하면서 뱀파이어 관련 영화를 많이 봤는데 좋은 내용으로 끌고 가는 내용은 거의 없더라. 좋아도 사랑으로 관련되지만, 결국엔 아픔밖에 없었다. 자신을 세월에게 넘겨줬을 때, 또 그런 것을 안고 살아가는 게 뱀파이어더라. 기쁘지 않았다”고 마음을 털어놨다.

디자인=이주영
때문에 박영수는 백작의 모습을 몸으로 표현하려고 했다. 그는 “어두운 면 때문에 백작의 감정이 잘 나타나지 않을까봐 조금씩 표현을 해보려 했다. 백작의 아픔을 표현하고 죽음에 대한 갈망이나 그런 것들”이라며 “항상 멋진 면모만 드러내는 것이 아닌, 찌그러지고, 뭔가를 듣기 싫어하고, 또 처참한 모습, 그리고 과거에 대한 억눌린 현재를 즐기기 못하는 모습을 말이다”라고 설명했다.
박영수는가 맡은 백작은 관객과 호흡하며 웃음을 전하고, 극의 대부분을 이끌어가는 프로페서V(이하 프로페서)와 호흡을 맞춘다. 백작은 극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이미지를 잡아주기는 하나, 프로페서에 비해 출연 장면도 많지 않고 관객과의 접촉도 적기에 분명 쉽지 않은 캐릭터다.
이에 대해 박영수는 “극 중에서 무너지지 않게 라인만 잡지, 웃고 싶은 때는 그냥 웃어버린다”며 “중심을 잡으면 더 갭이 생길 것 같아, 최대한 나를 풀어놓는다. 무대에 오르면 백작이 돼 버리기 때문에, 오히려 프로페서의 눈과 동작을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백작이 프로페서를 처음 봤을 때 어이가 없었을 것 같다. 리액션이나, 의상이나 모두 처음 본 것이지 않겠는가. 아마 호기심이 발동해서 계속 지켜본 것일 것이다. ‘과연 어디에서 왔을까’라는 마음으로”라고 덧붙였다.
“프로페서V 役도 재밌을 것 같아”

박영수는 세 번째 이어지고 있는 ‘마돈크’의 초연부터 빼놓지 않고 봤다.
그는 ‘마돈크’에 대해 “초연, 재연 모두 재밌게 본 작품이다. 이 작품을 할 것 같은 생각보다, 하고 싶은 마음에 봤던 것 같다”며, “예술 작품 같으면서도 키치스러운 느낌이 있는 작품”이라고 털어놨다.
박영수는 초연과 재연, 이번 작품까지의 차이를 조곤조곤 설명하는 데 이어 “이번 작품은 백작이 왜 프로페서를 만나고 왜 뒤를 밟고 같이 해야 했는지 이유가 생겼고, 그래서 더 매력적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프로페서도 잘 어울렸을 것 같다는 말에 “재밌을 것 같다. 배역에 대해 공부할 수도 있고, 실험적인 캐릭터일 뿐 아니라 관객들과 어울리는 부분도 있지 않은가. 밝은 역할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특히 박영수는 “‘마돈크’는 여러 장르 음악이 담겨있어 더 매력적”이라면서 웅장한 소리를 내는 ‘하프맨’부터, 감미롭고 유혹하는 듯한 부분의 ‘나를 사랑하는’ 등의 넘버 일부를 직접 들려주며 작품을 회상하기도 했다.
박영수 만의 백작 느낌
박영수는 “‘마돈크’는 회차가 많지 않아 정말 아쉽다”고 말하는 데 이어 “그래도 세라 신은 도전이었다. 내가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어울릴까도 걱정이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