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02

https://ch.yes24.com/Article/Details/30245

32945b4a135e03f19e4cd80d78962347.jpg

요즘 국내 문화계에서 가장 화제가 되고 있는 인물은 윤동주 시인이 아닐까 합니다. 일제강점기 29살의 짧은 생을 일본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마감한 윤동주. 지난 2월 16일은 윤동주 시인의 71주기였는데요. 이준익 감독의 영화 ‘동주’가 개봉했고, 앞서 서점가에서는 1955년 발행된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복간본이 인기를 얻으며 그의 시를 직접 따라 써보는 필사책도 잇달아 출간되고 있습니다. 영화에 앞서 청년 윤동주의 삶을 다룬 작품은 2012년 뮤지컬로 초연돼 큰 감동을 선사했는데요. 서울예술단의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가 오는 3월 20일부터 단 10회의 무대를 다시 선보일 예정입니다. 초연과 재연에 이어 이번에도 윤동주 역은 배우 박영수 씨가 맡았는데요. 대한민국에서 그 누구보다 윤동주라는 인물에 대해 많이 생각했을 그를 서울예술단 연습실이 있는 예술의 전당에서 만나봤습니다.

“이 작품은 시인 윤동주의 삶을 다뤘지만, 그 시대를 살아간 한 청년의 모습을 담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윤동주 시인이 그 당시에는 유명하지 않았잖아요. 유명해진 지금의 시선이 아니라 시대를 뼈저리게 느끼며 살아가는 문학인, 청년으로서의 모습을 표현하고 싶어요.”

초연 때부터 윤동주로 무대에 서고 있는 만큼 누구보다 윤동주 시인에 대해 많이 생각했을 텐데, 어떤 인물이라고 생각하세요?

“윤동주 시인과 관련된 여러 책을 봤는데, 친구들이 이름을 부르면 미소를 띠며 바라보고, 과묵했지만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줬던 사람으로 표현돼 있어요. 암울한 시대에도 미소를 잃지 않으려 노력했던 사람, 하지만 항상 즐기던 산책 중에 알 수 없는 탄식을 내뱉었다고 하는 걸 보면 행동하지 못하고 침묵했지만 내적 갈등이 많지 않았을까. 그게 시에 고스란히 담겨 있으니까요.”

윤동주 시인은 초연 때나 지금이나 29살 그대로지만 박영수 씨는 나이가 더해졌는데요. 다시 바라본 윤동주는 어떤가요?

“1980년대에는 대학생들도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잖아요. 대학생 때 벌써 세상이나 정권, 억눌림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한 건데, 지금 세대는 굉장히 늦죠. 제가 서른다섯 살인데 이제야 어떤 체제에 의해 바뀌지 않는 것들이 있다는 걸 느끼거든요. 그런데 윤동주 시인이 살던 시대에는 훨씬 빨랐다고 생각해요. 20대였지만 사고의 깊이가 다를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제가 서른한 살에 윤동주 시인을 만났을 때 그 아픔을 연기하려고 했다면, 지금은 그때 느끼지 못했던 무게를 여전히 공감은 못 해도 조금 더 느끼는 것 같아요.”

af613ab3969a1278b83e3cad2c73ac0f.jpg

요즘 문화계에 ‘윤동주 시인’ 열풍이 불고 있는데, 서울예술단의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첫 장면이 취조실이에요. 윤동주 시인이 사상범으로 잡혀서 한국어로 썼던 모든 글을 일본어로 번역해야만 해요. 무척 수치심이 일어나는 장면인데, 그때까지 뭘 하면서 어떻게 살았는지 시를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회상하거든요. 시인의 이야기를 극화한 거니까 저희들이 가장 신경 쓴 부분이 시였어요. 시를 온전히 남겨두자! 그래서 작품에 6편의 시가 나오는데 그걸 노래로 만들지 않고 그 정서를 그대로 담아 읊어요. 그런가 하면 서울예술단의 장점인 군무는 여러 장면에서 아주 멋지게 펼쳐질 거예요. 2012년 초연 때 무척 힘들게 준비해서 공연을 올렸는데, 첫공에 막공 같은 관객 반응이 있었고, 막공 때는 4층까지 전체 기립해 박수를 보내주셔서 말할 수 없는 감동을 받았어요. 다들 그 마음을 안고 열심히 준비하고 있어요.”

<윤동주, 달을 쏘다.>에서는 박영수 씨와 함께 김도빈, 조풍래 씨도 중심인물로 함께 무대에 서는데요. 서울예술단의 삼총사라 할 수 있는 동갑내기 친구들인 만큼 합이 잘 맞기도 하고, 때로는 너무 친해서 무대 위에서 곤란한 상황도 있을 것 같습니다.